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EST REGARD
- 일본어속담.격언
- HSKK
- C-POP(韓国語、日本語翻訳)
- 재경관리사
- 중국어 공부(学习中文)
- KPOP
- 비즈니스일본어
- 비지니스일본어
- hsk
- 비지니스 일본어
- 일본어속담.관용어
- 재무회계
- 일본 생활
- 원가회계
- jlpt
- 비즈니스일본어 ビジネス日本語
- 일본어속담.격언.관용어
- 일본취직
- 일본어회화
- 일본생활
- JPT SJPT
- 일본관용어
- JPT
- 일본어공부
- ことわざ 諺
- ことわざ
- CPOP 한중일번역
- 일본어공부 日本語勉強
- 일본어속담
- Today
- Total
목록일본어속담 (27)
Best regard

日本語勉強 일본어속담 - 犬の遠吠え 90년대 출생자에게는 잊을 수 없는 노래 멜로디만 나와도 "아 겁쟁이다"라고 알 수 있는 버즈(BUZZ)의 노래 이번 속담은 그 겁쟁이에 관한 말. 겁쟁일 수록 약한 티늘 안 내려고 하고 겁쟁이 일수록 센 척을 하는 일본어로는 犬の遠吠え いぬのとおぼえ 개가 멀리짖음 겁쟁이 개일 수록 더 멀리짖는 다는 뜻 당신은 겁쟁이?

日本語勉強 일본어속담 - 嘘も方便 거짓말을 하는 것 자체는 좋지않음 하지만, 만약 자신의 혈육. 예를 들면, 오빠나 형이 병에 걸려 입원해있고, 주사 및 검사를 위해 머리를 삭발했다고 가정 오빠나 형이 나 어때? 나 못생겨졌지? 라고 물어보면, 우리는 뭐라 대답해야할까? 못 생겼다고 솔직하게 말해야할까? 하지만, 만약 우리가 그를 생각한다면 그렇게는 못 할 것임. 비록 거짓말이더라도, 멋지다고, 괜찮다고, 잘 생겼다고 말하듯 일본어로는 嘘も方便 うそもほうべん 이라는 속담이 있음. 거짓말도 하나의 방법. 때로는 타인을 위하는 길임을. 우리말로는 하얀거짓말

日本語勉強 일본어속담 - 瓜の蔓に茄子はならぬ 몇 년 전부터인가 수저에 대한 이야기가 화두가 되었는데, 평범한 수저에 운명론과 유물론을 이입하여, 금수저로 태어난 사람과 은수저, 흙수저로 태어난 사람으로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여 신분층을 형성하기도 했음. 그리고 그 수저로 태어난 사람의 운명은 바뀌지 않는다는 정말로 어이없고 슬픈이야기. 무엇으로부터 이런이야기가 나왔는지 알 수는 없음. 하지만 역시나 용납될 수는 없는 이야기 이렇듯 운명론을 이입한 일본속담은 瓜の蔓-は茄子にならぬ うりのつる-はなすにならぬ 오이의 덩굴은 가지가 될 수 없음 = 오이줄기에서 가지가 나올 수 없음. 위의 수저 이야기로 재해석하면, 은수저의 아기는 금수저로 태어날 수 없음 "개천에서 용이난다"의 우리말 속담과 전혀 반대가 되는 속담..

일본 속담 - 百聞は一見にしかず 사람에 따라 정보를 이해하는 정도는 모두 다름 때론 한 번 들어서 이해할 때도 있는 반면, 수 백번 들어도 이해하지 못 할 때가 있음. 감각적인 부분에서 비롯된 차이도 있는데, 청각으로만 들을 때와 시각적으로 볼 때의 이해도에 대한 차이도 극명함. 오죽하면 예로 부터 이러한 말이 있을 정도 백문이 불여일견이다 백견이 불여일행이다 백 번 보는 듣는 것이 한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 백 번 보는 것이 한번 해보는 것보다 못하다. 직접 보고, 직접 해보는 것이 가장이라는 의미의 속담. 일본어로도 이것을 뜻하는 속담이 있는데 百聞は一見にしかず ひゃくぶんはいっけんにしかず 뜻은 위의 우리말속담 그대로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百聞は一見にしかず、見せて頂ければ幸いです。 백..

일본어 속담 - 伝家の宝刀 90세대 중 유희왕을 아는 사람들 중 함정카드 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임. 약삭빠른 눈빛과 올라간 입꼬리. "함정카드 발동" 이번 속담은 그 함정카드.. 계속 숨겨왔던 비장의 무기를 꺼내들 때 사용가능함 伝家の宝刀 でんかのほうとう 전설로 내려오는 보도(보검) 흔히 말하는 비장의 수임. 평소에는 쉽게 꺼내들지 않는

일본어속담 - 人間いたるところ青山あり 가끔 군대간 친구에게 편지나 전화로 안부를 전할 때, "많이 힘들지?", "괜찮아? 생활은 좀 어때?" 라고 자주 물어봄 혹은 타지에서 일하고 있는 친구에게 "잘 살고있어?", "한국음식 그립지않아?" 라고도 물어보는 경우가 있음. 그럴 때, 군인인 친구나 해외에서 일하고 있는 친구는 이렇게 말하곤 함. "군대도 사람사는 곳이다" "일본도 사람사는 곳인데, 뭘" 그렇슴. 어디를 갈 지라도, 결국에는 사람사는 곳. 처음에, 초반에 힘들더라도 점점 적응해가며, 결국 무탈하게 살게되기 마련 이번 속담은 위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음 人間いたる-ところ青山あり にんげん(じんかん)いたる-ところ あおやまあり 인간도처유청산(人間至所有青山) 사람은 어디서 죽던 뼈묻을 곳은 있다. 어떤..

연예인 서장훈씨는 농구선수로의 생활을 은퇴하고, 연예계에 발을 들여놓았을 때, "팩트폭행"을 소재로 많은 인기를 얻었음. 팩트폭행 : 사실을 말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창피함 혹은 여타 부정적인 감정을 줌. '굳이 그렇게까지 말할 필요는 없잔아..' '그렇게까지 말하면, 내가 할말이 없어..' 이와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본어 표현은 身も蓋もない みもふたもない 무언가를 넣을 통도, 뚜껑도 없다. -> 다 보여지는 것. 한국어로 해석하면, 위의 쓴 문장과 같이, '굳이 그렇게까지 말할 필요는 없잖아..' '그렇게 말하면 내가 할 말이 없지..' 등, 상처입은 듯한 말로 해석될 수 있음. 자주 사용되는 일본어표현으로는 「それを言っちゃ、身も蓋もないな。」 누군가가 당신을 팩폭했을 때, 사용하면 적절!

일본어속담 - 禍を転じて福と為す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 이 둘의 차이점은 사고방식의 차이 초등학교 도덕책에서 나오듯 돌뿌리에 걸려 넘어지고 난 후, 부정적인 사람은 "(돌뿌리를 발로 차며)에잇, 재수없게" 라고할 것임(아마도) 긍정적인 사람은 돌뿌리를 인적이 드문 숲으로 이동시킨 후 "나로 인해, 다른 사람시 넘어질 일은 없겠지"라고 말하면 뿌듯해함 이렇듯 사고방식의 차이가 한 사건을 기분을 좋게 만들수도 기분을 나쁘게 만들수도 있음. 이번 속담은 禍を転じて-福と為す わざわいをてんじて ふくとなす 禍(わざわい)는 재앙, 화란 뜻인데 이것을 뒤바꾸어 복으로 만든다 라는 뜻. 저명한 심리학자는 불행과 행복을 종이 한 장의 차이라고 말함. 그 종이는 사고방식일 수도 있고 행동일 수..

일본어속담 - 諸刃の剣 때론 남을 향한 미움이 험담이, 그릇된 행동이 나에게도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 때가 있음. 자신의 입에서 나온 좋지않은 말들이 결국에는 나를 남을 험담하는 사람으로 만들고 그 험담이 자신을 향해서 오는 화살처럼. 이런 것을 우리말 속담으로 양날의 검이라고 함. 결국에는 나도 남도 다치는 그런. 일본어 속담으로는 諸刃の剣 もろはのつるぎ 라고 하는데, 의미는 완전히 똑같음. 서로에게 좋지않은 영향을 끼칠 바에는 하지않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닐지.

일본어속담 및 관용어 - 糠に釘 초딩시절 길을 걷다가 돌멩이에 걸려 자빠질 뻔하고는 돌멩이에 화가나서 다른 돌멩이로 그 돌멩이를 납작하거 해줘야겠다고 마음먹고 돌멩이로 돌멩이를 치는 엽기적인 일을 한 적이 있음. 결국 손만 아프고, 돌멩이는 기스난 것이 고작.. 이번 속담은 이전에 게재했던 언발의 오줌누기랑 (焼け石に水) 크게 관련이 있는 속담으로 어떠한 결과나 효과를 기대하고 행위 및 행동을 하지만, 실제로 얻어지는 결과 및 효과는 미미한 경우를 뜻함. 일본어속담으로 糠に釘 ぬかにくぎ 겨에 침을 찌르는 격으로 단단한 겨에 침을 찌르고 후벼파더라도 겨를 뚫는 것은 쉽지않기에 그렇다할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것에서 비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