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EST REGARD
- 비즈니스일본어
- ことわざ
- 일본어회화
- JPT SJPT
- 일본어공부 日本語勉強
- 재경관리사
- 일본어속담
- 일본 생활
- 중국어 공부(学习中文)
- hsk
- HSKK
- KPOP
- 일본어공부
- 일본어속담.관용어
- ことわざ 諺
- 재무회계
- 일본생활
- jlpt
- 일본취직
- 비즈니스일본어 ビジネス日本語
- CPOP 한중일번역
- JPT
- 원가회계
- 비지니스일본어
- 일본어속담.격언
- 비지니스 일본어
- 일본관용어
- 일본어속담.격언.관용어
- C-POP(韓国語、日本語翻訳)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9)
Best regard

ことわざ編 - 噂をすれば影がさす 일본어공부 日本語勉強 험담, 뒷담화 사람의 마음에 상처입히고 정신적으로 문제를 불러일으키는 주범. 하지만 나도 모르게 자신도 모르게 어느순간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가 있음 이번 관용어는 우리들의 마음속에 험담에 대한 경계의 의미로 알아두면 좋을듯. 噂をすれば-影がさす うわさをすれば-かげがさす 직역하면 뒷담을 하면 그림자가 드리운다 우리말로는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중국어로는 说曹操,曹操到 영어로는 speak of a devil 와 호응되는 말임.

○가산세 1) 정의 세법이 규정하는 의무를 위반한 자에게 추가적인 세부담을 지우는 것 2) 종류 ㉠ 과세표준 신고 : 신고 불성실가산세 ㉡ 세액 납부 : 납부지연가산세 (이전 명칭 납부불성실가산세) ㉢ 원천징수 : 원천징수 불성실가산세 3) 가산세액 계산 ㉠ 과세표준 신고 : 신고 불성실가산세 계산 1. 무신고가산세 : 법정신고기한까지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2. 과소신고 및 초과환급신고 불성실 가산세 계산 -1 신고한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이 신고하여야 할 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2 환급세액을 신고하여야 할 금액보다 많이 신고한 경우 ※ 일반과소신고과세표준 ÷ 과세표준 = 법인세율 ※ 부정과소신고과세표준 ÷ 과세표준 = 법인세율 ㉡ 세액 납부 : 납부지연가산세 (이전 명칭 납부불성실가산..

○경제적부가가치 (EVA) 1) 경제적부가가치(EVA) ㉠ 도입배경 -1 손익중심(Accounting Based)성과지표의 한계 -2 현금흐름(Cash Based)지표의 중요성 부각 -3 자본비용 및 자본효율도가 반영된 수익성 지표인 EVA -4 EVA는 글로벌 경영을 향한 척도 ㉡ 정의 EVA란 Economic Value Added의 약칭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하여 얻은 세전순영업이익에서 법인세 부담액과 영업활동을 위해 제공된 투하자본(IC)에 대한 자본비용을 차감하여 계산한 이익 ㉢ 특징 -1)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지표이며, 사업의 존폐나 신규사업의 선택 등의 고려사항에 활용 ▶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경영지표 -2) 현금 흐름을 중시 ▶ 회계상이익은 흑자도산을 발생할 가능성 多 -3) 영업관련성..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1) 전부원가계산 ㉠ 의의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는 물론 고정제조간접원가까지도 제조와 관련되었다면 모든 원가를 제품원가로 보는 방법이다. ㉡ 특징 원가부착개념에 근거를 둠 ▶제품생산과 관련된 원가는 원가의 행태에 관계없이 모두 제품의 원가로 취급 ※ 원가부착개념 : 제품생산과 관련한 원가는 원가의 행태에 관계없이 모두 제품의 원가로 보는 것 2) 전부원가계산의 한계 ㉠ 원인 생산량이 이익에 직결되는 현상 ex) A사, B사 중 A사는 2만개의 제품을 생산하여 모두 판매하였고, B사는 3만개의 제품을 생산하여 1만개만 판매하였다. 하지만, 손익계산서상 B사가 A사 보다 영업이익이 높게 측정됨 ▶ 이유 : 판매되지 못한 생산품이 재고자산화 되기 때문에 ㉡ 결..

중국어문법편 형용사 중첩에는 1) AA 과 같은 같은 단어의 단순반복 1)과 같은 형용사중첩은 성조의 변화가 없다. 예시) 长长 [chángcháng] 길다 短短 [duànduàn] 짧다 2) AABB와 서로 다른 단어의 반복 및 결합 2)와 같은 형용사의 중첩은 2번째가 경성 예시) 开开心心[kāikaixīn xīn] 高高兴兴[gāogao xìngxìng] 두 가지의 경우 모두 형용사의 정도와 느낌을 강조! 우리나라의 의태어 및 의성어와 같이 묘사작용도 강조! 정도부사랑 같이 사용될 수 없다! [이미 그런 의미가 있기 때문에!] 很,非常 같이 사용x

○ 표준원가계산 (3) 1) 원가요소별 차이분석 (변동제조간접원가차이) ㉠ 변동제조간접원가차이는? 변동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과 실제조업도에 허용된 표준변동제조간접원가와의 차이 ▶ 이를 다시 소비차이와 능률차이로 분리 ㉡ 실제발생액 : AH × AP ㉢ 실제조업도 × 표준배부율 : AH × SP ㉣ 표준조업도 × 표준배부율 : SH × SP ㉤ 소비차이 : ㉡-㉢ ㉥ 능률차이 : ㉢-㉣ ※ AH : 실제조업도 ※ SH :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표준조업도 ※ AP : 조업도 단위당 실제배부율 ※ SP : 조업도 단위당 표준배부율 2)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의 원인 ㉠ 변동제조간접원가 배부와 직접 관련되는 직접노동시간의 통제와는 상관없이, 변동제조간접원가를 구성하는 각 항목의 통제수준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

○ 표준원가계산 (2) 1) 원가요소별 차이분석 (직접노무원가차이) ㉠ 직접노무원가차이는? 실제직접노무원가와 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직접노무원가와의 차이 ▶ 직접노무원가 가격차이와 직접노무원가 능률차이로 나누어짐 2) 직접노무원가의 가격차이와 능률차이 (a) 가격차이 : 직접노동시간이 실제시간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임률변화가 원가에 미치는 영향 (임률차이) (b) 능률차이 : 임률이 표준임률로 고정된 상태에서 실제시간과 표준시간의 차이가 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냄 ㉠ 실제발생액 : AH × AR ㉡ 실제투입시간 × 표준임률 : AH × SR ㉢ 표준시간 × 표준임률 : SH × SR ㉣ 가격차이 : ㉠-㉡ ㉤ 능률차이 : ㉡-㉢ ※ AH : 실제직접노동시간 ※ SH :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표준직접노동시간..

○ 표준원가계산 1. 차이분석 1) 정의 :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는 것 2) 유리한 차이와 불리한 차이 ㉠ 유리한차이 (F) = 실제원가 영업이익을 증가시키는 차이 (favorable variance = F) ㉡ 불리한차이 (U) = 실제원가 > 표준원가 -> 영업이익을 감소기키는 차이 (unfavorable variance = U) 3) 가격차이와 능률차이 ㉠ 실제발생액 : AQ × AP ㉡ 실제투입량 × 표준가격 : AQ × SP ㉢ 표준투입량 × 표준가격 : SQ × SP (a) 가격차이 : ㉠-㉡ (b) 능률차이 : ㉡-㉢ ※ AQ (Actual Quantity) : 실제수량 ※ SQ (Stardard Quantity) : 표준수량 ※ AP (Actua..

○ 표준원가계산 1. 원가측정방법 1) 실제원가계산 : 실제발생액을 기준으로 원가계산 2) 정상원가계산 : 실제발생한 직접재료원가 및 노무원가와 미리 정한 제조간접비로 원가계산 3) 표준원가계산 : 모든 원가요소를 미리 정해놓은 표준원가로 원가계산 2. 표준원가계산 1) 표준원가의 목적 -1 원가관리와 통제 ㉠ 차이분석을 통한 원가 정보제공 ㉡ 예외에 의한 관리 -2 예산편성 ㉠ 예산편성 자료수집 시간을 단축 ㉡ 합리적인 기준을 이용한 예산편성 가능 -3 재무제표 작성 ㉠ 재고 및 매출원가 산정 근거자료 제공 ㉡ 작업상의 비효율을 제거한 원가정보 -4 회계업무 간소화/신속성 ㉠ 기장업무 단순화 ㉡ 적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3. 표준원가계산의 장단점 1) 장점 -1 실시간 수익성 분석 및 성과평가가능 -..

○제조원가의 흐름 -제품원가와 기간원가 (수익과 비용 대응의 관점) 제품원가 : 판매목적으로 구입하거나 제조한 제품에 부과할 수 있는 원가(직접재료,노무, 제조간접원가) 기간원가 : 제품원가 이외의 모든 원가를 말하며 발생한 기간에 비용처리 (재고불능원가 : 판관비 등) *제조원가는 판매시점이 수익창출시점 / 판관비는 수익창출시점 파악x 1) 제조원가의 기초 ㉠ 직접재료원가 : 구매과정에서 구입한 재료 중 제품의 제조과정에 투입되어 소비된 금액 ▶ 재료원가 = 기초재료재고애 + 당기재고매입액 - 기말재고재료액 ㉡ 직접노무원가 : 종업원이 제조활동에 제공한 노동력의 대가 ㉢ 제조간접원가 : 직접재료원가와 노무원가 이외의 모든 제조원가 ▶ 완성품 제품의 특정단위에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추적할 수 없는 제조..